자동화 장비(Automation Machine)

금속의 기계적 성질

아윤이네 2025. 5. 2. 19:50

금속을 다루는 모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기계적 성질’입니다.
기계적 성질이란 금속이 외부 힘을 받았을 때 어떻게 반응하고, 어느 정도까지 버틸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특성입니다.
이 특성을 제대로 이해해야만 금속을 올바르게 선택하고, 원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속의 대표적인 기계적 성질인 강도, 경도, 연성, 전성, 인성, 취성, 탄성, 소성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강도(Strength)

강도는 금속이 외부 힘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성질입니다.
쉽게 말해, ‘얼마나 세게 눌러도, 잡아당겨도, 부서지지 않는가?’를 의미합니다.

강도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잡아당기는 힘(인장)에 견디는 능력.
    예) 철사, 볼트, 기계 부품 등은 인장강도가 중요합니다.
  • 압축강도(Compressive Strength): 누르는 힘(압축)에 견디는 능력.
    예) 건축 구조물, 기둥 등은 압축강도가 중요합니다.
  • 전단강도(Shear Strength): 자르는 힘(전단)에 견디는 능력.
    예) 리벳, 볼트, 핀 등은 전단강도가 중요합니다.

강도가 높을수록 튼튼하지만, 가공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적절한 강도의 금속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경도(Hardness)

경도는 금속의 표면이 긁히거나 눌리는 것에 저항하는 능력입니다.
즉, ‘얼마나 단단한가?’를 나타냅니다.

  • 경도가 높은 금속은 마모(닳음)에 강하고, 긁힘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 반면, 경도가 너무 높으면 깨지기 쉬운(취성) 경우도 있습니다.

경도는 여러 가지 시험(브리넬, 비커스, 로크웰 등)으로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절삭공구, 베어링, 금형 등은 높은 경도가 필요합니다.


3. 연성(Ductility)과 전성(Malleability)

연성과 전성은 금속이 변형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 연성: 금속을 잡아당겼을 때(인장) 끊어지지 않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
    → 구리선, 알루미늄선처럼 실처럼 뽑을 수 있는 이유입니다.
  • 전성: 금속을 두드리거나 눌러서 얇게 펼 수 있는 성질
    → 금박, 은박처럼 얇게 펴는 것이 가능합니다.

연성과 전성이 뛰어난 금속은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하기 쉽고, 복잡한 부품에도 적합합니다.


4. 인성(Toughness)과 취성(Brittleness)

  • 인성: 금속이 충격이나 갑작스러운 힘을 받아도 깨지지 않고 버티는 능력
    → 자동차 차체, 구조물 등은 인성이 좋아야 안전합니다.
  • 취성: 금속이 힘을 받으면 갑자기 부서지거나 깨지는 성질
    → 유리, 주철 등은 취성이 높아 충격에 약합니다.

인성이 높은 금속은 안전성이 높고, 취성이 높은 금속은 쉽게 부서질 수 있으니 용도에 따라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5. 탄성(Elasticity)과 소성(Plasticity)

  • 탄성: 금속에 힘을 가했다가 빼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성질
    → 스프링, 자동차 서스펜션 등은 탄성이 중요합니다.
  • 소성: 금속에 힘을 가하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성질
    → 판금, 단조, 프레스 등 다양한 가공에 활용됩니다.

금속은 일정 범위 내에서는 탄성을 보이다가, 그 한계를 넘으면 소성 변형이 일어납니다.


6. 금속의 기계적 성질, 왜 중요할까?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이해하면
- 어떤 금속이 내 제품에 적합한지
- 어떤 가공법을 써야 하는지
- 제품의 안전성과 수명을 어떻게 확보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전선을 만들 때는 연성과 전성이 뛰어난 구리나 알루미늄을,
- 자동차 차체에는 인성이 좋은 강철을,
- 절삭공구에는 경도가 높은 초경합금을 사용합니다.


7. 금속의 기계적 성질, 어떻게 측정할까?

  • 인장시험: 금속을 잡아당겨 끊어질 때까지 힘을 측정
  • 경도시험: 금속 표면에 일정한 힘으로 누르고, 자국의 크기를 측정
  • 충격시험: 금속에 충격을 가해 깨질 때의 에너지를 측정
  • 굽힘시험, 압축시험 등 다양한 시험법이 있습니다.

이런 시험을 통해 금속의 성질을 수치로 확인하고, 품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8.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금속의 기계적 성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강도, 경도, 연성, 전성, 인성, 취성, 탄성, 소성 등은 금속을 이해하고 가공하는 데 꼭 필요한 기본 지식입니다.

다음 연재에서는 대표적인 금속별(철,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등) 특징과 가공성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