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 장비(Automation Machine)

구동부의 안전과 신뢰성

아윤이네 2025. 5. 5. 05:08

구동부의 안전과 신뢰성
- 자동화 장비의 필수 조건과 실무 가이드

자동화 장비의 구동부는 생산성·정밀성 못지않게 안전과 신뢰성이 중요한 핵심 요소입니다.
구동부의 오작동, 예기치 못한 움직임, 제어 오류 등은 인명 사고, 장비 손상, 생산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국제표준, 법적 기준, 현장 실무에서 다양한 안전장치와 신뢰성 확보 절차가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동부 안전의 기본 원칙, 실무 적용 사례, 신뢰성 평가, 최신 트렌드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1. 구동부 안전의 기본 원칙

  • 기계적 방호장치(Guard): 회전체, 구동부, 동력전달부 등 위험 부위에 가드 설치로 외부 노출 최소화 [1]
  • 비상정지(EMO/E-Stop): 장비 어디서든 즉시 구동부를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 설치
  • 연성 제한(Soft Limit)·영역 제한(Space Limiting): 소프트웨어와 센서로 구동부 동작 범위·속도 제한, 위험 구역 진입 방지 [2]
  • 이중화·과부하 보호: 브레이크, 토크 리미터, 센서 이중화 등으로 예기치 못한 오작동 방지
  • 수동운전/교시(T1, T2, Jog 등) 시 속도 제한: 작업자 안전 확보를 위해 수동모드에서는 저속(예: 250mm/s 이하)만 허용 [3]

2. 안전 관련 국제표준과 인증

  • ISO 10218, IEC 62061: 산업용 로봇 및 자동화 장비의 안전 요구사항, 성능수준(PL), 안전무결성수준(SIL) 규정 [2]
  • SRP/CS(Safety-Related Parts of Control System): 안전 관련 제어시스템의 구조적 요구조건
  • S마크, CE, KC 등 안전인증: 제품의 안전성·신뢰성·설계 및 제조 품질관리 체계에 대한 심사 및 인증 [8][10]

3. 구동부 신뢰성 평가와 실무 체크포인트

  • 위험도 평가: 모든 예상 가능한 위험원 식별, 보호조치 설계 및 실행, 점검표 활용 [2]
  • 설계·제조 검증: 육안 검사, 실제 시험, 측정, 운전 중 관찰, 회로도 검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안전요구 충족 확인
  • 정기 점검·유지보수: 가드, 센서, 브레이크, 비상정지 등 주요 안전장치의 정기적 점검 및 교체
  • 사용자 교육·매뉴얼 제공: 설치·운전·유지보수 절차, 위험상황 대처법, 비상조치법 등 상세 안내 [2]
  • 표시·경고: 명확한 경고 표지, 위험구역 표시, 비상조치 안내 등

4. 구동부 안전장치의 실제 적용 예시

  • 회전체·이송부 등 노출 위험 부위에 기계적 가드안전커버 설치
  • 비상정지 버튼, 라이트커튼, 안전매트 등 비접촉식 안전장치 적용
  • 소프트웨어 기반 영역 제한속도 제한 기능 구현, 설정 변경은 관리자만 가능
  • 수동운전/교시(T1, 티칭모드) 시 속도 자동 제한 및 자동운전 불가 [3]
  • 정전·비상 시 무동력 이동(브레이크 해제) 가능, 위험 경고 표기

5. 신뢰성(신뢰성 평가, 인증, 유지보수) 확보 방안

  • 부품·시스템 신뢰성 인증: S마크, CE, KC 등 국내외 인증 취득 [8][10]
  • 정기적 성능시험·밸리데이션: 동작시험, 센서·브레이크·비상정지 등 주요 부품의 성능 확인
  • 예방정비·예지보전: 센서·모터·감속기 등 주요 부품의 이상징후 조기 감지, 교체·정비 주기 관리
  • 잔존 위험 대응: 설계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위험에 대한 경고, 비상조치 안내, 표준작업절차(SOP) 마련

6. 최신 트렌드와 미래 기술

  • 스마트 안전장치: IoT·센서 기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원격 경고·진단
  • AI 기반 예지보전: 이상 진동·온도·토크 데이터 분석으로 고장 예측
  • 안전-제어 통합: SRP/CS, SIL, PL 등 국제표준 기반의 통합 안전제어 시스템
  • 모듈화/플러그앤플레이: 안전장치·센서의 손쉬운 교체·확장, 유지보수 효율화

7. 마치며

구동부의 안전과 신뢰성은 자동화 장비의 기본이자, 현장 실무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최우선 가치입니다.
국제표준, 법적 기준, 현장 점검과 예방정비, 사용자 교육까지
모든 단계에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와 신뢰성 확보가 필요합니다.
다음 연재에서는 에너지 효율과 친환경 구동 기술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다루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